토요일 점심시간 없음
감기에는 항생제가 특효 감기 걸린 영유아, 항생제 사용률 여전히 높아
급성 상기도감염 항생제 처방률, 영유아가 가장 높아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21년 약제 급여 적정성 평가 결과에 의하면, 감기 등 급성 상기도감염의 항생제 처방률은 2002년 73.33%에서 2021년 35.14%로 대폭 감소했으며, 매년 꾸준한 감소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연령별 급성 상기도감염 항생제 처방률을 살펴보면, 영유아의 항생제 처방률이 38.92%로 성인인 35.85%보다 높으며, 2019년 이후 3년 연속으로 다른 연령대와 비교해 항생제 처방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영유아의 경우, 감기로 병원을 방문하는 횟수가 연간 평균 6.5회(2019년 기준)로 다른 연령 대비 약 2~3배 정도 더 많고, 항생제 처방률까지 높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노원을지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은병욱 교수는 “어린이 감기 환자의 보호자 중에는 빠른 치료를 위해 항생제 처방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는데, 불필요한 항생제를 복용하게 되면 항생제에 노출된 세균들의 내성이 높아져 정작 세균감염 질환에 걸렸을 때는 치료가 가능한 항생제가 줄어든다”라고 말하며, “감기에 항생제를 요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의료진도 항생제는 꼭 필요한 경우에만 처방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질병관리본부 소아 급성 상기도감염의 항생제 치료 지침에서는 “감기 치료로 항생제를 미리 사용한다고 해서 폐렴 등의 세균성 하기도 감염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라고 설명했다.